오늘은 금시세(18K, 24K, 14K, 한돈)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.
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불리는 금은 언제나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죠. 특히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는 금을 보관하거나 투자하는 분들이 늘어나는데요, 오늘은 금을 살 때와 팔 때의 시세 차이와 계산 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✨
1. 금 시세 이해하기
혹시 금을 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가 꽤 크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한번 살펴보면 금의 시세 구조와 계산법이 의외로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부분이 많습니다.
1) 한돈의 무게와 계산법
일상에서 가장 많이 듣는 단위가 바로 한돈이에요.
한돈은 3.75g으로, g당 금 시세에 3.75를 곱하면 됩니다. 예를 들어 g당 10만 원일 경우, 24K 한돈은 약 37만 5천 원 정도가 되죠.
18K(금함유율 75%) → 약 28만 2천 원
14K(금함유율 58.5%) → 약 21만 9천 원
💡 이렇게 계산해두면 매장에서 견적을 받을 때 기준점을 잡기 쉬워요.
2) 국제 시세와 환율의 영향
국제 금 거래는 트로이온스(31.1035g) 단위로 이루어집니다.
국내 금값은 국제 시세에 원/달러 환율을 곱하고, 여기에 세금·운송·정제·보관 비용 같은 프리미엄이 더해져 결정됩니다.
그래서 환율이 오르면 국내 금값도 같이 올라가게 되죠 📈.
3) 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
많은 분들이 놀라는 부분이 바로 여기!
금은 판매가와 매입가가 달라서, 바로 팔면 손실이 크게 느껴지기도 합니다. 반지나 목걸이 같은 액세서리는 세공 공임이 빠져 실제 매입가가 더 낮아지기도 하죠.
👉 따라서 여러 매장을 비교하고, 수수료와 차감 항목을 꼭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2. 금 거래 채널별 특징
그렇다면 금을 어디서 거래하는 것이 좋을까요? 🧐
1) 금은방 거래
금은방은 실물을 바로 보고 살 수 있고, 현금화도 빠른 장점이 있어요. 하지만 매장마다 수수료와 공임 차이가 커서 꼭 여러 곳을 비교해야 합니다.
저 역시 예전에 18K 반지를 팔 때 두 군데 이상 비교해봤는데, 매입가 차이가 꽤 나더라고요.
2) KRX 금시장 & 종로 상권
KRX 금시장: 증권계좌로 거래할 수 있어 보관 부담이 없고 수수료가 낮습니다. 다만 실물 인출보다는 투자용에 적합해요.
종로 금 시장: 전문가들이 많아 감정이 빠르고 품목도 다양합니다. 택배 매입도 가능해서 지방에 사는 분들도 많이 이용해요.
💡 실용 팁: 시세 변동이 큰 날에는 금시세 18K를 수시로 확인하세요. 매입·매도 체감가 차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마무리
자, 지금까지 오늘의 금시세 18K, 24K, 14K, 한돈 살 때 팔 때 가격 차이와 계산법을 살펴봤습니다.
정리해보면:
한돈 = 3.75g, 계산법을 알면 손쉽게 시세 확인 가능
금값은 국제 시세 + 환율 + 프리미엄으로 결정
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가 크므로 수수료 확인 필수
금은방, KRX, 종로 등 거래처별 장단점 다름
👉 금은 단기 시세에 흔들리기보다는 장기적 가치로 접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오늘 알려드린 팁으로 현명한 금 거래 하시길 바랄게요 💛